'부여'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02.27 삼국지 위서 동이전 부여 30
삼국지 위서 동이전

          부여

 부여(夫餘)는 장성(長成: 현재의 만리장성이 아닌 연, 진 시대 장성) 북쪽에 있는데, 현도(玄   )에서 천리쯤 떨어져 있다. 남으로 고구려, 동으로 읍루( 婁), 서로 선비(鮮卑)와 접해 있으며, 북쪽에 약수(弱水:흑룡강)가 있다. 사방 2천리가 되며 호수는 8만이다.
 그 나라 사람들은 정주 생활을 하며 궁실과 창고 및 감옥을 갖추고 있다. 산릉(山陵)과 넓은 연못이 많고 동이 지역에서 가장 넓고 평탄한 곳이다. 토질은 오곡이 자라기 적당하지만 오과(五果)는 생산되지 않는다. 그 나라 사람들은 체격이 크고 성질은 굳세고 용감하며 근엄 후덕하여 다른 나라를 침범하거나 노략질 하지 않는다.
 나라에는 군왕이 있고 모두 여섯 가축 이름으로 관명을 정하여 마가(馬加), 우가(牛加), 저가( 加), 구가(狗加), 대사(大使, 혹은 犬使), 대사자(大使者, 혹은 犬使者), 사자가 있다. 읍락에는 호민(豪民)이 있고 하호(下戶)라 불리는 백성은 모두 노복이 되었다. (邑落有豪民名下戶皆爲奴僕,  다른 판본에서는 名이 民으로 되어 있어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제가(諸家)들은 별도로 사출도(四出道)를 주관하는데, 큰 곳은 수천 가이며, 작은 곳은 수백가였다.
 음식을 먹고 마실 때 모두 조두(俎豆)를 사용하고, 회합을 가질 때에는 술잔을 주고(拜爵) 닦는(洗爵)하는 예(禮)가 있고, 출입할 때 읍양(揖讓)하는 예가 있다.
 은력(殷曆) 정월에 지내는 제천행사는 국중대회로 날마다 먹고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는데 그 이름을 영고(迎鼓)라 하였다. 이 때에는 형옥(刑獄)을 중단하고 죄수를 풀어 주었다. 국내에 있을 때 의복은 흰색을 숭상하여 흰 베로 만든 큰 소매 달린 도포와 바지를 입고 가죽신을 신는다. 외국에 나갈 때는 비단옷, 수놓은 옷, 모직옷을 즐겨 입고 대인은 그 위에 여우, 삵괭이, 원숭이, 희고 검은 담비 가죽으로 만든 갓옷을 입었다. 또 금, 은으로 모자를 장식하였다. 통역이 이야기를 전할 때에는 모두 꿇어앉아 손으로 땅을 집고 가만가만 이야기한다.
 형벌은 엄하고 각박하여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집안 사람을 적몰하여 노비로 삼는다. 도둑질을 하면 12배를 변상케 하였다. 남녀간에 음란한 짓을 하거나 질투하는 부인은 모두 죽였다. 투기하는 것을 미워하여 죽이고 나서 그 시체를 나라의 남산 위에 버려 썩게 하였다. 친정에서 (시체를) 가져가려면 소와 말을 바쳐야 내어 준다. 형이 죽으면 형수를 아내로 삼는 것은 흉노의 풍습과 같다.
 그 나라 사람들은 가축을 잘 기르며, 명마와 적옥, 담비와 원숭이 (가죽) 및 아름다운 구슬이 산출되는데 구슬의 크기는 대추만 하다. 활, 화살, 칼, 창을 병기로 사용하며 집집마다 갑옷과 무기를 보유하였다.
 그 나라의 노인들은 자기들이 옛날 (다른 곳에서)망명한 사람들이라 말한다. 성책은 모두 등글게 만들어 마치 감옥과 같다. 길에 다닐 때는 밤이나 낮이나 애 늙은이 할 것 없이 모두 노래를 부르므로 하루 종일 노래 소리가 그치지 않는다.
 전쟁을 하게되면 하늘에 제사지내고 소를 잡아 발굽을 보고 길흉을 점친다. 발굽이 갈라지면 흉하고 발굽이 붙으면 길하다고 여긴다. 적군이 있으면 제가들이 직접 전투를 하고 하호는 양식을 져다가 음식을 만들어 준다.
 여름에 사람이 죽으면 모두 얼음을 넣어 장사지내고, 사람을 죽여 순장을 하는데 많을 때는 100명 가량이나 된다. 장사를 후하게 지내는데 곽(槨 덧널)은 사용하나 관(棺 널)은 쓰지 않는다. 

 위략(魏略):  그 나라의 습속은 다섯달 동안 초상을 지내는데 오래 둘수록 영예롭게 여긴다. 죽은 이에게 제사지낼 때에는 날 것과 익은 것을 함께 쓴다. 상주는 빨리 장사지내고 싶어하지 않지만 다른 사람이 억지로 강권하여 언제나 실랑이를 벌이는 것을 예절로 삼는다. 상을 입는 동안 남녀 모두 순백색의 옷을 입고 부인은 베로 만든 가리개(面衣)를 착용한다. 반지나 패물 따위를 몸에서 떼어 놓은데 대체로 중국과 비슷하다.

 부여는 본래 현도(군)에 속하였다. 한나라 말년에 공손탁(公孫度)이 해동에서 세력을 키워 바깥 오랑캐(外夷)들을 위엄으로 복속시키자 부여왕 위구태(尉仇台)는 바꾸어 요동군에 복속하였다. 이 때 구려(고구려를 말함)와 선비가 강성해지자 탁은 부여가 두 오랑캐 틈에 끼어 있는 것을 기화로 (동맹을 맺으려) 일족의 딸을 (부여왕에게) 시집보냈다.  위구태가 죽고 간위거(簡位居)가 왕이 되었다. (그에게는) 적자가 없고 서자 마여(麻余)가 있었다. 위거가 죽자 제가들이 함께 마여를 왕으로 옹립하였다. 우가(牛加) 형(兄)의 아들 이름도 위거였는데 대사가 되어 재물을 아끼지 않고 남에게 베풀어 주기 좋아하니 국인들이 그를 따랐다. 해마다 (위나라) 서울에 사신을 보내 공물을 바쳤다.
 정시(正始: 위 제왕의 연호 240~249) 연간에 유주(幽州) 자사(刺史) 관구검( 丘儉)이 구려를 토벌하면서 현도태수 왕기(王 )를 부여에 파견하였다. 위거는 대가를 보내 교외에서 맞이하고 군량을 제공하였다. (위거의) 계부(季父막내 삼촌)인 우가가 딴 마음을 품자 위거는 계부 부자를 죽이고 재물을 적물하였다.
 옛 부여 풍속에는 가뭄이나 장마가 계속되어 오곡이 영글지 않으면 그 허물을 왕에게 돌려 '왕을 바꿔야 한다'거나 '죽여야 한다' 하였다. 마여가 죽자 그의 아들인 여섯 살짜리 의려(依慮)를 왕으로 세웠다.
 한나라 때는 부여왕의 장례에 옥갑(玉匣)을 사용했으므로 언제나 현도군에 미리 갖다 두었다가 왕이 죽으면 그것을 가져다 장사지냈다. 공손연(公孫淵)이 죽임을 당한 뒤에는 현도군의 창고에는 옥갑 한 벌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지금 부여의 창고에는 옥으로 만든 벽(璧) 규(珪) 찬(瓚) 등 여러 대를 전해오는 물건이 있어 대대로 보물로 여긴다. 노인들은 선대 (왕)께서 하사하신 것이라고 한다.

 위략 : 그 나라는 매우 부강하여 선대로부터 일찍이 (적에게) 파괴된 일이 없다.

 그 도장에 '예왕지인(濊王之印)'이란 글귀가 있고 나라 가운데 예성(濊城)이란 이름의 옛 성이 있다. 아마도 예맥(濊貊)의 땅이었다가 부여가 그 가운데서 왕이 되었으므로 스스로 '망명해 온 사람'이라 말하는 것 같다.

 위략 : 옛 기록에 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옛날 북방에 고리(高離)라는 나라가 있었다. 왕의 시녀가 임신을 하여 왕이 죽이려 하자 그녀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달걀만한 크기의 (신령스런) 기운이 나에게 떨어져 임신을 하였습니다." 그 뒤 아들을 낳았다. 왕이 그 아이를 돼지우리에 버리자 돼지가 입김을 불어주어 죽지 않았다. 마굿간에 옮겨 놓았으나 말도 입김을 불어 주어 죽지 않았다. 왕은 천제의 아들이라 여겨 그 어머니에게 거두어 기르게 하였다. 이름을 동명(東明)이라 하고 항상 말을 사육하게 하였다. 동명이 활을 잘 쏘자 왕은 자기 땅을 빼앗길까 두려워 죽이려 하였다. 동명이 남으로 달아나 시엄수(施掩水)로 이르러 활로 물을 치니 물고기와 자라가 떠올라 다리를 만들어 주었다. 동명이 건넌 뒤 물고기와 자라가 흩어져 버리니 추격하던 군사는 건너오지 못하였다. 동명은 부여지역에 도읍하여 왕이 되었다.


Posted by 빈구름
,